본문 바로가기

전공 과학/분석화학

정성분석과 정량분석의 차이와 정의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이 어떤 음식이나 물질에 뭐가 얼마나 들어가있는지 궁금할때가 있을거에요. 이러한 궁금증을 가지고 과학자들은 많은 고민을 했었고, 지금 제가 알려드릴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이라는 말이 탄생했는데요.

각각의 단어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정성분석이란? 성분의 종류를 찾는방법입니다.

영어로 qualitative analysis라고 하며, 질적인 이라는 뜻의 qualitative로 보면 알 수 있듯이

물질의 특성, 즉 물질내 성분의 종류를 찾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러분이 처음보는 물건을 보았을때,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그 물건을 만져보기도 하고 냄새를 맡아보기도 할겁니다.

더 호기심이 들면 떨어뜨린다던지, 등 여러가지 실험을 해보겠죠?

이런 식으로 물체의 특성이 '딱딱하다, 물렁하다' 라는 방법으로 인지하셨다면 이것 역시 정성분석의 한 방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기술이 발전했으니 기계를 이용한 여러가지 물질을 분석할 수 있어요. 이러한 기계들에 대한 이야기는 추후에 다뤄보겠습니다.

 

*정량분석이란? 성분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영어로 quantative analysis라고 하며, 여기서는 양적인 이라는 뜻의 quantative로 의미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정량분석은 특정부분에 대한 분석(예를들면, 철이 녹슬었을때 녹슨부분의 두께를 쟤는 방식)도 있고, 당연히 전체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도 있어요.

애초에 정량분석을 하려면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야하는 정성분석의 과정도 거쳐야하기에 정량분석이 좀 더 복잡한경우가 많습니다.

이것 역시 측정하는 기계들이 많으니 천천히 다뤄보도록 할게요.

 

정리

정성분석-> 종류파악-> 어떤 물질에 포함된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화학종을 확인하는 방법

정량분석-> 수량파악-> 어떤 물질에 존재하는 화학종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

 

어렵게 정의하자면 이렇게 말할 수 있겠네요.